ActivityContext vs AndroidContext
ActivityContext 와 AndroidContext 는 둘 다 Context 를 구현하고 있다. Context 는 앱 환경에 대한 전역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상태에 대해 시스템에 제공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Context 를 통해 리소스, 데이터베이스, 프리퍼런스, 시스템 서비스 등에 접근할 수 있는 메소드를 제공한다. ActivityContext 특정 액티비티에 바인딩되어 있으며, 액티비티의 생명주기에 따라 존재한다. 따라서 액티비티가 파괴되면 Context 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용도 UI 와 밀접하게 연관된 작업에 사용된다. 예시) 새로운 액티비티 혹은 다이얼로그를 띄울 때 액티비티의 레이아웃 리소스테 접근할 때 액티비티 스태틱 서비스에 접..
정리하기/android
2024. 4. 15. 13:55
parcelize 어노테이션
안드로이드 개발을할 때 data 객체에 @Parcelize 어노테이션을 다는 경우가 있다. @Parcelize 어노테이션을 클래스 선언 시 달아주면, 해당 객체는 bundle 에 넣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어떤 경우에 bundle 에 넣어야하는 상황이 오는 경우는 다른 액티비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서비스 같은 다른 안드로이드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할 때 Intent 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데이터를 Bundle 객체에 담아서 전달하게 된다. @Parceliz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컴파일 시 Parcelable 구현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정리하기/android
2024. 1. 10. 19:56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nodejs
- git tag
- node.js
- 함수
- 자바스크립트
- js
- AndroidContext
- vue.js
- MarionetteJS
- 원하는것이있다면끝까지버텨라
- 외부모듈
- browserify
- Typescript
- mocha.js
- backbone.js
- eventbus
- marionetts.js
- #가상머신
- angular
- framework
- javascript
- nextTick
- node
- awe-some
- vue
- vuex
- 뉴욕
- common.js
- awesome-vue
- Androi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