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발 환경 구성 중에는 프로젝트의 로컬 서버 실행을 위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window 환경 기준)
hosts 파일에서
127.0.0.1에 붙을 수 있는 url을 수정하는 과정이 있는데,
여러 개의 플젝 서버를 실행하게 하는 경우
각 서버를 실행할 때 마다
어떤 url을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인지를 수정해야하기 때문에 굉장히 귀찮게 만든다.
이런 귀차니즘을 없애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XAMPP다.
우선 적용하기 위해 아래 url로 접근하여 설치를 해보자.
https://www.apachefriends.org/index.html
설치는 각자 컴퓨터 상태에 알맞게...
설치가 완료되면 이제 host 관련된 파일 수정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httpd.conf 파일을 수정해보자.
우선 딱히 다른 부분은 수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혹시 localhost로 접근했을 때 특정 파일 목록을 보고 싶으면
DocumentRoot "파일 url"
<Directory "파일 url">
위와 같이 DocumentRoot와 Directory 부분의 파일 url을 수정해주면 된다.
그 다음으로 수정해야할 부분은 LoadModule 관련 부분.
proxy_module
proxy_ajp_module
proxy_connect_module
proxy_ftp_module
proxy_http_module
proxy_wstunnel_module
위의 모듈을 사용할 수 있게 주석을 제거해준다.
이제 다음으로 수정해야할 파일은 httpd-vhosts.conf
다음의 코드 내용을 httpd-vhosts.conf 파일에 추가해주면 된다.
Listen 80 # 80 포트를 받도록 해주고
<VirtualHost *:80>
serverName 서버주소
ProxyPreserveHost On
proxyPass / 80 포트로 서버 주소 접근 시 이동될 다른 포트 ex. 127.0.0.1:8080 /
proxyPassReverse / 127.0.0.1:8080 /
</VirtualHost>
proxyPass에 입력될 포트 번호는 프로젝트 서버가 셋팅된 포트 번호로 지정해주면 된다.
후에 XAMPP에서 Apache를 start 시킨 후에
각 프로젝트의 로컬 서버로 접속해서 접속이 완료되면 끝!!
(사실 나도 서버쪽은 너무너무 모르기 때문에 잘 알지 못하고 하라는대로만 따라했다 ㅠㅠ)
** hosts 파일은 기본으로 수정되어 있어야 한다.
'정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머신으로 ie 브라우저 테스트 (0) | 2018.06.29 |
---|---|
[webpack] 개념 파악해보기 (0) | 2017.08.07 |
리눅스 명령어 chmod (0) | 2017.08.03 |
- Total
- Today
- Yesterday
- js
- vue
- angular
- awe-some
- 외부모듈
- marionetts.js
- mocha.js
- MarionetteJS
- nextTick
- Typescript
- node.js
- javascript
- 함수
- vuex
- #가상머신
- nodejs
- awesome-vue
- 뉴욕
- vue.js
- 원하는것이있다면끝까지버텨라
- AndroidContext
- eventbus
- 자바스크립트
- git tag
- node
- browserify
- framework
- backbone.js
- common.js
- Androi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