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요청을 보내면,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내주는 프로세싱
- 초창기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정적인 페이지 처리만 가능
> 정적인 페이지 처리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못함.
> 동적인 페이지 처리에 대한 기술 "CGI"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동적으로 페이지를 처리하는 방법
- 서버에서 처리하는 스크립트의 시초 (Server-Side Programming)
- 정적 처리에 대한 한계 극복
- 다양한 언어로 작성이 가능 -> 개발이 쉬움
- 비객체지향적이며 플랫폼에 의존적 -> 확장성이 떨어짐
- 클라이언트가 요청될 때 마다 process를 생성하여 처리 -> 과부하
Servlet/JSP
CGI에서 발전된 기술
- 객체지향적으로 개발 가능
- 확장성이 높음
- 클라이언트가 요청될 때마다 thread로 처리하여 과부하 방지
웹 컴포넌트
웹 Application 개발 시 사용되는 HTML, JSP, Servlet 등의 파일을 의미
- HTML 컴포넌트
태그로 이뤄진 파일 (*.html)
- JSP 컴포넌트
HTML 태그 안에 java 코드를 넣어 동적인 웹 페이지를 작업하기 위한 컴포넌트 (*.jsp)
- Servlet 컴포넌트
java로 작성한 동적인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컴포넌트
웹 컨테이너
JSP와 servlet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역할
-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해 웹 컴포넌트를 생성/제거
- 대표적인 웹 컨테이너가 Tomcat
반응형
'정리하기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conf 디렉토리 살펴보기 (0) | 2018.08.26 |
---|---|
자바빈 (0) | 2018.08.04 |
Servlet (0) | 2018.08.04 |
tomcat 디렉토리 살펴보기 (0) | 2018.07.24 |
Apache vs Tomcat (0) | 2018.07.21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marionetts.js
- 뉴욕
- angular
- eventbus
- node
- common.js
- backbone.js
- browserify
- awe-some
- nodejs
- vuex
- nextTick
- 원하는것이있다면끝까지버텨라
- Android
- #가상머신
- vue.js
- awesome-vue
- javascript
- vue
- framework
- 함수
- 외부모듈
- node.js
- AndroidContext
- git tag
- js
- mocha.js
- MarionetteJS
- Typescript
- 자바스크립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