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와 Common.js는 모듈화된 코드를 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이 둘의 차이점은, 모든 모듈의 로딩이 완료된 후에 실행하는 것인가 아니면 로딩 완료 이전에 실행하는 것인가이다. (즉, 동기 vs 비동기의 방식의 차이) Common.js 모든 모듈이 로컬에 다운로드가 된 이후에 실행하는 방식이다. node.js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server 환경에서 외부 모듈을 가져올 때 유리한 방식이다. var lib = require("package/lib");function foo() { lib.log("hello world!");} exports.foobar = foo; 하지만 모든 모듈을 다운로드할 때까지페이지를 동작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부각되어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탄생한 방식이 AMD 방식이..
개발 환경 구성 중에는 프로젝트의 로컬 서버 실행을 위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window 환경 기준)hosts 파일에서 127.0.0.1에 붙을 수 있는 url을 수정하는 과정이 있는데, 여러 개의 플젝 서버를 실행하게 하는 경우각 서버를 실행할 때 마다 어떤 url을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인지를 수정해야하기 때문에 굉장히 귀찮게 만든다. 이런 귀차니즘을 없애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XAMPP다. 우선 적용하기 위해 아래 url로 접근하여 설치를 해보자. https://www.apachefriends.org/index.html 설치는 각자 컴퓨터 상태에 알맞게... 설치가 완료되면 이제 host 관련된 파일 수정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httpd.conf 파일을 수정해보자. 우선 딱히 다른 부분은..
view에서 model 값을 가져오는데 사용되는 메소드로는serializeData()와 templateHelpers()가 있다. 이 둘의 차이점을 확인해보자. serializeData() 이 메소드는 보통 model이나 collection 데이터를 template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할 때 사용된다. serializeData는 기본적으로 단순히 model의 속성 값을 복사해준다. var _ = require('underscore');var Mn = require('backbone.marionette');var myModel = new MyModel({foo: 'bar'}); var MyView = Mn.View.extend({ template: _.template('Hello, '), seri..
` 문자를 사용하면 템플릿 문자열을 여러 줄로 표현할 수 있다. ${value} 표현식을 통해서 템플릿 영역에 JS의 변수 값을 할당할 수가 있다. let fullName: string = `Bob Bobbington`;let age: number = 37; let sentence: string = `Hello, my name is ${ fullName }. I'll be ${ age + 1 } years old next month.`; 관련 문서https://www.typescriptlang.org/docs/handbook/basic-types.html
node.js는 기본으로 다른 모듈을 갖다가 사용하고자 할 때 require 메소드를 이용하여 가져올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하지만, 브라우저 자체는 require 메소드가 undefined이기 때문에브라우저 안에서 실행되는 코드에서 외부 모듈을 가져오기 위해 require문 사용 시,에러를 맞이하게 된다 ㅠㅠ 바로 다음과 같은 상황 main.jsvar unique = require('uniq'); var data = [1, 2, 2, 3, 4, 5, 5, 5, 6]; console.log(unique(data)); 위의 코드는 uniq라는 모듈을 가져다가 동작을 하고 있다. 우선 위의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uniq라는 모듈이 필요하다. npm으로 uniq 모듈을 설치한다. npm in..
부동 소수점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 ex. 12.34 = 12.34 * Math.pow(10, 0) = 1.234 * Math.pow(10, 1) = 0.1234 * Math.pow(10, 2) = ... 실수 12.34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너무 다양.하여 가수부 정수 1자리로 표현하도록 고정한 방식. 컴퓨터에서 부동 소수점 표현 방식 1) 부호비트 + 지수 비트 + 유효 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 부호 비트 : 양수면 0 음수면 1 - 지수 비트 : 정규화 변환 시 n승 이동 시의 n 값. - 유효 자리 : 소수점 이하 2) 32bit(단정도)인가 64bit(배정도)인가에 따라 각 비트의 수가 달라짐. - 32bit : 부호비트 (1 bit) + 지수비트(8 bit) + 유효자리(23bit) - 6..
모카 js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모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 있다. Mocha is a feature-rich JavaScript test framework running on Node.js and in the browser, making asynchronous testing simple and fun. 모카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node 기반의 테스트 프레임워크다. node 기반이기 때문에 npm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npm install mocha 다음 코드는 mocha 사이트에 있는 예제 코드다. var assert = require('assert'); describe('Array', function() {describe('#indexOf()', function() {it('should re..
개발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나는 이 둘의 차이점을 제대로 파악하고 사용하고 있는가? 하여, 이번 기회에 확실히 차이점을 기억해두기 위해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개념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제 개념을 정리해보자.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는 다른 개발자가 특정 도메인 영역에서 특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작성한 코드.ex. jQuery, React...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위해 자체적으로 정해진 기본 골격을 의미한다.즉, 이미 동작 flow가 정해져 있고 그 안에서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우리의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 곳도 정해져 있다. ex. Angular, backbone... 이 둘의 큰 차이점을 나의 코드를 호출하느냐, 내 코드가 호출하느냐가..
- Total
- Today
- Yesterday
- awesome-vue
- backbone.js
- vuex
- 함수
- mocha.js
- browserify
- marionetts.js
- 원하는것이있다면끝까지버텨라
- javascript
- vue
- Android
- js
- framework
- eventbus
- awe-some
- MarionetteJS
- 뉴욕
- Typescript
- vue.js
- 자바스크립트
- node
- nodejs
- nextTick
- #가상머신
- AndroidContext
- common.js
- angular
- 외부모듈
- git tag
- node.js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