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void 0 이라는 코드를 보는 경우가 있다. void 0은 무엇인가?? 찬찬히 void 연산자 부터 살펴보자. void는 함수 body의 내용을 실행하고 undefined를 리턴하는 연산자다. void 0이라는 문구는 void(0)과 동일한 코드이며,단지 undefined라는 값을 얻기 위한 코드인 것이다. 그러면 undefined라는 값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void 0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JS 초창기 시절 undefined는 writable한 전역 변수였다.(즉, undefined에 값을 할당이 가능) 값이 할당된 undefined로 인한 버그를 막기 위해void 0 이라는 코드를 사용하게된 것이다. 물론 최신 브라우저에서는undefined에 값 할당이 불가하다. 마지막으로 관련 url ..
브로드웨이를 갔으니 뮤지컬은 한편 봐야겠다는 포부로! 오페라의 유령을 보기로 했당 !!!! 진짜 여행 준비 하나도 안했는데 뮤지컬만은 좋은 자리로 앉으려고 출발 한달 전에 예약했다 뮤지컬 예약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인데, 약간의 할인된 가격으로 원하는 좌석을 내가 선택해서 예약이 가능했던 요 사이트에서 했다.https://www.telechargeoffers.com/좌석명은 오케스트라, 메짜닌, 리어 메짜닌. (좌석은 1층 2층 3층으로 나뉜 것이고 층이 내려갈 수록 비싸짐) 오케스트라 석으로 정 가운데 좌석으로 예약하고! 이티켓을 출력해올래? 아님 매표소에서 받을래? 물어보는데 이티켓을 티켓마다 한 면을 출력하지 않거나 출력물을 안가져간 경우 핸폰 스샷이나 폰으로 이미지로 대체하지 못한다고 해서 매표소에서..
JS에서 함수를 실행하게 되면 함수의 컨텍스트가 바뀌게 되어 컨텍스트를 유지시켜줘야 하는 경우가 있다. 컨텍스트를 유지하여 실행하는 방법으로는 함수를 실행 전에 변수를 설정해서 기존의 this를 할당 후,해당 변수를 통해 컨텍스트를 유지하도록 할 수는 있다. var view = this;$("div.className").on("click", function() {view.func();}); 하지만, 먼가 이런 방법 말고 Function 자체의 함수를 통해컨텍스트를 유지하고 싶다면? Function 자체의 함수로 함수의 컨텍스트를 유지시킬 수 없을까?? call, apply, bind가 컨텍스트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함수다.그럼 이 함수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우선 크게 call, apply와 bin..
Angular에서는 view의 DOM에 대한 내용을 처리하는 Directive라는 개념이 있다. Angular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directive도 있으며,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커스텀하게 만들 수 있다. 이 포스팅에서는 기본 제공되는 여러 directive 중 @HostListener와 @HostBinding에 대해 비교해보려 한다. (왜냐면 내가 헷갈렸기 때문이다ㅠ) 결과적으로 보면 이름은 비슷한데,하는 내용은 완전히 다르다. 예시를 각각 보면서 확인해보자. HostListener 예시 @HostListener('click', ['$event.target'])onClick(target) {console.log('click!', target);} HostListener 디렉티브는첫번째 paramete..
웹 브라우저에서는 window 객체가 최상위 객체다.node.js는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node.js에서의 최상위 객체는 window 객체가 아니며 window 객체가 존재조차 하지 않다. 대신, 전역 변수, 전역 객체와 전역 함수를 갖고 있다. 전역 변수 출력하기 console.log("filename", __filename); console.log("dirname", __dirname); 위의 코드를 실행 시, 현재 실행 파일의 이름과 파일 디렉토리를 출력해준다. console 객체 이용하여 내용 출력하기 console.log("매개변수의 갯수가 부족하면 걍 스트링 %d가 출력된다.");console.log('%d + %d = %d !! %d', 273, 52, 273+52); ..
맥주 양조장이 있다고 해서 브루클린에 갔당 양조장 투어를 할 수 있는데 주중은 예약해야하는거 같고.. (하지만 역시 사전 예약은 하지 않음) 금 토 일에 가면 선착순으로 투어 입장이 가능하다고 해서, 토욜날 가보았다 하지만 브루클린에 가는 지하철이 (L라인) 자꾸 늦어져성 8시까지만 운영하는데 한 7시 20분쯤 도착 ㅠㅠ 브루어리에서는 토큰을 사고 구매한 토큰으로 맥주를 마시는건뎅 이미 토큰 구입하는 곳이 문을 닫았엉!!!!!!!!ㅠㅠㅠ 슬퍼하고 있는데 맥주 주는 분이 공짜로 한잔씩 줘서 운 좋게도 마실 수 있었다 ㅋㅋ 하지만 아쉬움을 달래지 못해 일욜날 다시 방문ㅋㅋ 근처에서 피자까지 한조각 사서 마감 세시간 전에 도착!! 여유롭게 토큰 구매하고 피자와 함께 맥주를 호호 IPA을 좋아하는데 IP..
뉴욕에 가니 꼭 먹으라고 자주 들었던 피터루거! 예약제라고 미리 예약하라고 했었지만 귀차니즘이 심한 나는 한국에서 예약하지 않고 걍 뉴욕 출발ㅋㅋ 물론! 뉴욕에 도착해서 전화 예약을 했당 전화를 해도 계속 통화중이라 거의 20번 넘게 계속 전화해서 어렵게 연결이 되었는데, 목욜날 저녁 전화를 해서 내일 예약 가능하니? 했더니 금욜은 불가했고.. 토욜인가 일욜날 밤 9시반? 이때 가능하다해서 월욜 점심 2시 45분으로 예약했었다 그런데!!! 월욜날 쇼핑을 하다보니 예약 시간에 도착하지 못할꺼 같아서....ㅠㅠ 다시 힘들게 전화해서 언제까지 기다려줄 수 있니?? 물어봤더니 3시까지 기다려주겠다해서 겁나 뛰어간 기억이 ㅋㅋ 어째튼 결과적으로 도착해서 스테이크를 먹은 소감은!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들부들..
마리오네트에는 이벤트를 통해 객체들이 통신을 할 수 있게 돕는 시스템이 있다.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인데, 이 차이점이 헷갈려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 trigger() this.trigger('eventName'); 위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해당 view의 상위 view에서 이벤트 핸들링을 할 수 있다. - triggerMethod() this.triggerMethod('childView:eventName'); 위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되면,해당 view + 해당 view의 상위 view에서 이벤트 핸들링을 할 수 있다. 또한 triggerMethod로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명에 : 문자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경우 마리오네트에서 : 문자를 기준으로 하여 자동으로 핸들링 메소드..
- Total
- Today
- Yesterday
- js
- vue.js
- Typescript
- angular
- backbone.js
- browserify
- Android
- awe-some
- 함수
- mocha.js
- 외부모듈
- javascript
- awesome-vue
- 자바스크립트
- eventbus
- 원하는것이있다면끝까지버텨라
- nodejs
- framework
- MarionetteJS
- node.js
- vuex
- node
- vue
- common.js
- 뉴욕
- nextTick
- marionetts.js
- AndroidContext
- #가상머신
- git ta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